종소세 기한후 신고를 해도 환급 가능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더 늦게 내면 가산세가 붙어서 오히려 세금을 더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손해보기 싫으신 분들이라면, 아래에서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방법, 환급 받는 방법, 가산세까지 한번에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방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요즘은 홈택스를 이용하면 초보자도 금방 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큰일나는 2가지 이유 (눈덩이 가산세)
- 가산세 줄이는 방법 공유
- 10분 만에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하는 방법 (간단)
- 환급은 언제 받을 수 있을까?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귀찮은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해야하는 이유가 바로 가산세 때문입니다. 우리 생각보다 국세청은 훨씬 치밀하고 똑똑합니다. 따라서, 어차피 세금은 내게 되어 있고 괜히 신고만 미루면 매일매일 가산세만 더 불어나게 됩니다. 어떤 가산세가 얼마나 붙을까요?
다행히 아래 가산세를 다 낼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 바로 최대한 빨리 세금을 납부하면 나라에서 가산세를 감면, 즉 줄여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대 50% 까지 감면해주는데요. 아래에서 자세하게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1. 무신고 가산세
일반 무신고의 경우, 신고하지 않은 납부 세액의 20%를 가산세로 추가 납부해야합니다. 다시 말해서, 원래 낼 세금이 100만원이었는데, 이것을 안 낼 경우, 20%가 추가된 120만원을 세금으로 내야한다는 것입니다.
무신고 가산세 = 안 낸 세금 금액 x 20%
여기서 더 무서운 것은 고의적으로 소득을 누락한 부정 무신고의 경우입니다. 부정 무신고를 했을 경우, 무신고 납부 세액의 40%를 더 내야합니다. 즉 세금 100만원을 일부러 안 내면, 나중에 140만원의 세금을 내게 되는 것입니다.
2. 납부지연 가산세
기간이 지났더라도, 하루빨리 세금을 내야하는 이유가 납부지연 가산세 때문입니다. 납부지연 가산세는 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그 금액이 점점 불어납니다.
납부지연 가산세 = 안 낸 세금 금액 x 지연된 미납 일수 x 0.022%
가산세 줄이는 방법
미납한 세금에다가 가산세까지 한번에 납부하려면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좋은 소식은, 경과된 기한이 짧을 수록 나라에서 가산세를 줄여준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납부기한을 놓친 분들이라면 반드시 기한이 더 지나기 전에 곧바로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이 바빠지면서 또 놓치게 되면 가산세 감면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하는 방법
1. 작년 수입 내역 확인하기
먼저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작년 수입 내역을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 [로그인] - [My홈택스] - [연말정산/지급명세서] -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으로 들어가주세요.
그러면 제출내역이 쭉 나옵니다. 여기서 [귀속년도]가 작년인 것만 확인해주면 됩니다. 각각 명세서를 눌러서 확인해보시고, [업종구분 코드]와 [지급총액] 정도는 메모해두시는 것이 이후 신고 과정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종합소득세 기한후 신고
[홈택스 홈페이지] - [종합소득세 신고 확정신고] - [종합소득세] - [일반신고 or 모두채움신고] - [기한후 신고]. 여기서 모두채움 신고의 경우 요즘 대상자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알려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두채움신고 대상자라면 [모두채움 신고/단순경비율 신고]를 선택하시고, 아니라면 [일반신고]를 선택해주세요.
3. 기본 정보 입력 및 신고서 작성하기
[모두채움신고] 대상자일 경우에는 주민등록번호와 연락처를 입력하고 [조회]버튼을 누르면 알아서 종합소득금액이 산정됩니다. 앞서 [지급명세서]에서 확인한 금액과 일치하는지 확인해주시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추가로 신고해주시면 됩니다. 일치한다면, 환급계좌를 입력하고 신고서를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일반신고]의 경우에도 어렵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소득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하면 입력이 되는데요. 보다 세부적인 과정은 다음 영상을 참고해보시거나, [유튜브]-[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검색]을 통하여 영상을 보면서 하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스스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것이 어려운 분들은 SSEM 어플은 사용하는 것도 간편합니다. 수수료를 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시간이 부족한 분들께는 추천드립니다. 다만, 비용이 아까운 분들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 사업자 추천 영상
(참고) 알바생 및 프리랜서 추천 영상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환급일
종합소득세를 기한 후 신고했다고 하더라도, 내가 이미 낸 세금이 내야할 세금보다 많다면 당연히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정기신고 기간에 신고한 경우에는 신고 후 1개월 이내에 환급이 됩니다. 반면, 기한 후 신고의 경우에는 최대 3개월까지도 걸릴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5년 : 5년이 지나고 나면 환급을 받지 못합니다. 5년이 지난 환급액은 국가에 귀속되기 때문입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입니다.
-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이집트 간단한 방법 | 터키 막힘 해결책
- 카뱅 세이프박스 6달 솔직 후기 | 단점, 금리 이자, 한도
- baro 요금제 후기 총정리 | 사용법, 통화, 로밍, 할인 방법
- 청년도약계좌 조건 완벽정리 | 무직 공무원 중복 가입
여기까지 종소세 기한 후 신고 방법과 환급 받는 방법, 가산세 계산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세금 납부 과정이 번거롭기는 하지만 미납하지 않고 성실하게 납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도움될 것입니다. 오늘 글 내용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