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잡다 역량검사 게임 노하우 (2) : 길 만들기 도형 회전 AI 역량검사

by 멋사 2024. 11. 6.

잡다 역량검사 노하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지난번에 [도형 순서]와 [마법약] 게임 팁을 알려 드렸는데요. 이번엔 [길 만들기], [도형 회전], [약속 정하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분명 합격에 도움 될테니 꼭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다음은 잡다 ai 역량 검사의 [도형 순서 기억하기]와 [마법약 만들기], 그리고 영상 면접 질문을 알려드린 포스팅이니,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잡다 역량검사 후기 : AI 역량검사 게임 팁 공유

 


순서

  • 잡다 역량검사 1 : 길 만들기
  • 잡다 역량검사 2 : 도형 회전하기
  • 잡다 역량검사 3 : 약속 정하기

 

잡다 역량검사 게임 팁 1 : 길 만들기 게임

길 만들기 게임은 AI 역량 검사 게임 중에서, 연습을 통해 실력을 많이 높일 수 있는 게임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방식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만 기억해둬도 절반 이상이 끝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잡다_역량검사_게임
잡다_역량검사_게임

 

파란색처럼 두 대상이 서로 가로, 세로로 수직으로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두 개가 직교하는 지점에 1개만 길을 만들어주며 됩니다. 반면, 빨간색처럼 두 대상이 평행하게 위치한 경우에는 2개의 길을 만들어 줘야 합니다. 

 

따라서, 처음에 대상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예를 들어서 직교하는 애들이 1쌍, 평행한 애들이 1쌍이면, 자동으로 총 필요한 길의 개수는 1+2=3으로 총 3개를 쓰면 되겠구나 생각하는 겁니다. 그렇게 하고, 문제 풀 때 왼쪽에 정답 길의 개수를 알려주는 데 그거랑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이때, 만약 딱 3개면 그냥 우리가 알고 있던 대로 하면 됩니다.

 

그런데, 만약 이런 식으로 계산한 것보다 길이 많거나 적으면, 경로 상에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는 겁니다. 근데 이것도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잡다 역량 검사 방법을 이어서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잡다_역량검사_길만들기
잡다_역량검사_길만들기

위에 그림처럼 최대한 겹치게 길을 위치시키면 됩니다. 파란색과 노란색 모두 각각 평행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원래대로면 2+2=4개가 필요하겠지만, 중간에 저렇게 하나를 공통으로 사용하게 되면 3개만 쓸 수 있죠. 즉, 계산보다 주어진 길이 적을 경우에는 공통으로 쓸만한 부분이 없는지만 체크해 주면 됩니다.

 

 

잡다 역량검사 게임 팁 2 : 도형 회전하기

 

 

도형 회전하기를 어려워하시는 분들은 도형의 전체에 너무 집중해서 그렇습니다. 도형의 일부분에만 집중하거나, 특정 부분의 모양을 외우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잡다_역량검사_도형
잡다_역량검사_도형

 

위는 신역검 도형들의 예시입니다. 여기서 예를 들어서, 가장 첫 번째 도형의 경우, 대칭적으로 생겼으나 한쪽에 ㄱ 자 모양이 있습니다. 근데, 그게 왼쪽으로 이동해 있으니 오른쪽으로 한번 돌리고 좌우 반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도형의 검정 부분이나 흰 부분 중에서 더 식별하기 쉬운 부분의 특정 모양을 체크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생각해 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

 

잡다 역량 검사 게임 팁 3 : 약속 정하기

[약속 정하기]는 음식 외우기와 마지막에 버스 번호 외우기가 까다롭습니다. 이때 음식 외우기의 팁은 아래에 있는 음식을 미리 확인해 두는 것입니다.

 

잡다_역량검사_AI_역량검사
잡다_역량검사_AI_역량검사

 

위 그림은 AI 역량검사에서 나오는 음식 사진들을 모두 모아둔 것입니다. 각 그림에 대해서, 본인이 바로 떠오를 수 있는 단어를 정해주세요. 예를 들어서, 왼쪽 가장 위는 '우동', 그 오른쪽은 '마라탕', '김밥', '스테이크', '보쌈' 등으로 외우는 것입니다. 그러고, 이렇게 모든 음식에 대해서 단어를 정해서 외워두면, 훨씬 암기가 잘 됩니다.

 

신역검 버스 번호 기억하기의 경우, 저는 가장 앞 숫자만 외웁니다. 예를 들어서, 45, 8, 23, 993 이렇게 외워야 되면, 4,8,2,9만 외우고 정답을 고를 때에 외우지 않았던 것이 있으면 고릅니다. 이 방식의 문제점은, 앞자리가 같은 숫자가 나오면 헷갈린다는 것인데요. 취약점이 있기는 하지만, 저는 그래도 그냥 외우는 것보다 그냥 앞자리만 외우는 것이 승률이 좋아서 이런 식으로 했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입니다.

 

 

 

여기까지 잡다 역량검사 게임 팁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길 만들기, 도형 회전하기, 순서 기억하기에 대해서 알려드렸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댓글